대한민국의 주요 선거
[ 펼치기 · 접기 ]
선거 종류
이전 선거
다음 선거
[ 역대 선거 펼치기 · 접기 ]
제1대 · 제2대 · 제3대 · 제4대 · 제4대 · 제5대 · 제6대 · 제7대 · 제8대 · 제9대 · 제10대
제11대 · 제12대 · 제13대 · 제14대 · 제15대 · 제16대 · 제17대 · 제18대 · 제19대 · 제20대
제21대
[ 역대 선거 펼치기 · 접기 ]
1952 · 1956 · 1960 · 1991
제1회 · 제2회 · 제3회 · 제4회 · 제5회 · 제6회 · 제7회 · 제8회 · 제9회
[ 역대 선거 펼치기 · 접기 ]
1960 · 1961 · 1965 · 1968 · 1969 · 1970 · 1971 · 1977 · 1989 · 1990
1991 · 1992 · 1993 · 1994 · 1996 · 1997 · 1998 · 1999 · 2000
2001 · 2002 · 2003 · 2004 · 2005 · 2006 · 2007 · 2008(교육감) · 2009 · 2010
2011( · ) · 2012( · ) · 2013( · ) · 2014( · ) · 2015( · )
2016 · 2017(4월 · 5월) · 2018 · 2019 · 2020
2021 · 2022(3월 · 6월) · 2023( · ) · 2024( · ) · 2025(4월 · 6월)
2026
폐지**
[ 역대 선거 펼치기 · 접기 ]
초대 · 제2대 · 제3대 · 제4대 · 제5대
시행 불가***
[ 역대 투표 펼치기 · 접기 ]
제1차 · 제2차 · 제3차 · 제4차 · 제5차 · 제6차
*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인용에 따라 윤석열이 파면되어 60일 이내로 후임자를 선거해야 한다.
**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
***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

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
2022년 3월 9일
20대 대선
2025년 6월 3일[탄핵인용]
21대 대선
2030년 6월 3일
22대 대선
1. 개요2. 후보
2.1. 대권주자
2.1.1. 원내정당2.1.2. 원외정당 / 무소속
3. 여론조사

1. 개요[편집]

대한민국의 제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선거로,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의 궐위가 없을 경우 원래 2027년 3월 3일에 실시될 예정이였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되면서 2025년 조기대선이 성사되었다.

2. 후보[편집]

2.1. 대권주자[편집]

대선 출마를 선언했거나 예비후보 등록 목록에 있는 사람은 볼드체로 표기.

2.1.1. 원내정당[편집]

    • 김공옥 당원
    •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장관
    • 나경원 국회의원
    • 안철수 국회의원
    • 양향자 전 국회의원
    • 오세훈 서울특별시장
    • 유승민 전 국회의원
    • 유정복 인천광역시장
    • 이장우 대전광역시장
    • 이정현 지방시대위원회 부위원장
    • 이철우 경상북도지사
    • 최재형 전 감사원장
    •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
    • 홍준표 전 대구광역시장
    • 김경수 전 경상남도지사
    • 김동연 경기도지사
    • 김두관 전 경상남도지사
    •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
    •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
    • 전재수 국회의원
    • 강성희 전 국회의원
    • 김재연 진보당 대표

2.1.2. 원외정당 / 무소속[편집]

    • 권영국 정의당 대표
    • 한상균 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
    • 우원식 국회의장
    • 차기원 전 미국하우스이어연구소 책임연구원
    • 한덕수 국무총리
    • 황교안 전 국무총리

3. 여론조사[편집]

[탄핵인용]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인 2024헌나8이 8:0의 만장일치로 가결됨에 따라 60일 이내로 후임자를 선거해야 하는데, 이에 따라 국무회의를 거쳐 2025년 4월 8일에 확정한 선거일이다.

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-SA 4.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,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.

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,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.